12월 피플펀드 소식 

  • 개인신용 분산투자 1천억 원 무사 상환
  • 블룸버그, 한국 대표 P2P 금융회사로 피플펀드 조명
  • 인도네시아 핀테크 렌딩 협회(AFPI), 피플펀드 기술 탐방
  • 피플펀드의 사람과 문화 다룬 피플inside 발행

[금융 Fin]

개인신용 분산투자 1천억 원 무사 상환

누적 투자금 1,546억 중 만기 도래한 1,016억 무사 상환, 잔여 투자금도 정상 상환 중

피플펀드 개인신용분산투자 track record

개인신용 분산투자는 2016년 출시되어 3년 동안 누적 41만 명이 투자한 피플펀드의 대표 상품입니다. ’19년 11월 말 기준 1,546억 원이 투자되었으며 이 중 67%에 해당하는 1,016억 원이 투자자에게 무사 상환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단 한 건의 연체도 발생하지 않았으며, 잔여 금액 역시 정상 상환 중입니다.

피플펀드는 더욱 안정적인 수익을 낼 수 있는 상품을 제공하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개인신용 분산투자는 1) 고도화된 평가 모델을 통해 심사하고 은행을 통해 취급하는 채권만 담보로 삼으며, 2) 다수의 채권(2019년 10월 기준 평균 68개)을 묶음으로써 투자자들이 한 상품에 투자 하더라도 자동으로 분산되어 리스크를 경감할 수 있도록 설계 되었습니다.

개인신용 분산투자의 상환액 1,000억 원 돌파는 투자자 보호를 위한 노력의 결과로서, 양적 성장 대비 더욱 의미 있는 성과로 보고 있습니다. 피플펀드는 투자자가 믿고 맡길 수 있는 투자 플랫폼으로 거듭나기 위해서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개인신용 분산투자 상품 특징 자세히 알아보기

[피플펀드]

블룸버그, 한국 대표 P2P 금융회사로 피플펀드 조명

김대윤 대표, Bloomberg’s Daybreak Asia에 출연하여 피플펀드의 성장 비전 공유

피플펀드 김대윤 대표 블룸버그 출연

피플펀드가 대한민국 대표 P2P 금융기업으로 세계적인 경제 뉴스인 블룸버그에 소개되었습니다. 피플펀드 김대윤 대표는 ‘Bloomberg’s Daybreak Asia’에 출연하여 한국 금융시장에서 피플펀드의 역할과 방향성, P2P 법제화에 따른 기대효과 등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를 진행하였습니다.

국내 P2P 금융 회사가 블룸버그와 같이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매체에 소개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이번 인터뷰는 피플펀드의 홍콩 핀테크 위크 초청 과정에서 성사되었습니다. 홍콩 핀테크 위크는 60여 개의 국가에서 참여하는 국제 핀테크 컨퍼런스로, 피플펀드는 국내 P2P 금융회사 중 유일하게 이 행사에 초청받았는데요. 홍콩 핀테크 위크의 미디어 스폰서인 블룸버그가 피플펀드의 성장성에 주목해 인터뷰를 요청한 것입니다. 

블룸버그는 한국의 P2P 금융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피플펀드에 깊은 관심을 보였습니다. 김대윤 대표는 인터뷰 후 “전 세계 금융인을 대상으로, 글로벌에서는 불모지에 해당하는 대한민국 온라인 여신시장과 피플펀드를 소개했다는 점에서 상당히 의미 있었다”라고 평했습니다. 이렇게 큰 관심만큼, 피플펀드는 앞으로도 더 좋은 P2P 금융회사가 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블룸버그 인터뷰 더 알아보기

[기술Tech]

인도네시아 핀테크 렌딩 협회(AFPI), 피플펀드 기술 탐방

선진 핀테크 벤치마킹 목적, 피플펀드의 은행통합형 P2P 모델에 큰 관심 보여

인도네시아 핀테크 렌딩 협회 방문 현장

지난 22일, 인도네시아 핀테크 금융기업 연합체인 인도네시아 핀테크 렌딩 협회(이하 AFPI)가 피플펀드를 방문했습니다. 인도네시아 핀테크 협회는 자국 핀테크 기업의 역량 강화를 위해 한국핀테크협회에 한국 유망 핀테크 기업 탐방을 요청하였고, 피플펀드를 비롯해 카카오페이, 뱅크샐러드, 보맵 등이 탐방 기업으로 선정되었습니다. 피플펀드는 은행통합형 P2P 모델을 통해 전통 은행과 협업한 독특한 사례로 인도네시아 핀테크 협회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인도네시아 인구는 약 2억 6천만 명으로 한국보다 약 5배가 큰 거대 시장이나, 인도네시아의 금융 서비스 이용 수준은 매우 낮은 수준입니다. 세계은행의 Global Findex Database 2017에 따르면, 9천 5백만 명 이상의 인도네시아인은 금융 계정에 접근 권한이 없으며 15세 이상 인구의 49%만이 은행에 계좌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은행 이용률이 낮은 이유는 1만 8천여 개의 군도로 구성된 인도네시아의 특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데요. 인도네시아에서는 자국민의 금융 제약을 핀테크 기술을 통해 개선할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피플펀드의 은행통합형 P2P 모델이 인도네시아에서 더욱더 주목받고 있는 이유입니다.  

인도네시아 핀테크 렌딩 협회(AFPI) 방문단은 피플펀드를 방문하여 은행과의 협업 기술과 노하우에 대해 깊이 있는 논의를 진행하였습니다. 특히, 방문단은 복잡도 높은 은행 전산망을 연계하는 동시에 고도의 컴플라이언스 기준을 충족하도록 개발된 피플펀드의 통합 연계 시스템에 깊은 관심을 보였습니다.

높은 성장 잠재력으로 주목받고 있는 인도네시아에서 국내 핀테크 기업과 기술에 큰 관심을 갖는 것은 매우 고무적인 일입니다. 피플펀드는 앞으로도 인도네시아 금융위원회, 핀테크 렌딩 협회(AFPI)와 적극적인 교류를 통해 국내 핀테크 기술의 우수성을 알리고자 노력하고자 합니다.  

[이벤트&행사]

피플펀드의 사람과 문화 다룬 피플inside 발행

인터뷰의 첫 주인공 기술총괄이사(CTO) 한섬기

피플펀드 CTO 한섬기

그동안 베일에 감춰져 있던 피플펀드 임직원의 이야기를 이제 피플펀드 블로그에서 만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피플펀드는 고객분들께 조금 더 친근감 있게 다가가는 것은 물론, 우수한 분들을 임직원으로 모시기 위해, 피플펀드를 만드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은 피플inside를 정기적으로 발행합니다. 

피플inside는 최고의 금융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 각자의 자리에서 묵묵히 일하고 있는 임직원을 조명하고, 그들이 가지고 있는 생각과 고민을 들어보고자 합니다. 

피플inside에서 첫 번째로 다룬 직군은 바로 개발자입니다. 뛰어난 모바일 기반 금융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 개발자의 역량은 매우 중요합니다. 지금도 좋은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피플펀드의 개발자들은 어떤 고민과 지향점을 가지고 있을까요? 피플inside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피플inside는 매주 1회 발행 되며, 개발 직군 외에도 다양한 직군의 피플펀드 임직원을 다룰 예정입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피플inside: 한섬기 CTO ‘개발팀이 조직의 절반이 될 때까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