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월 18일, 매일경제에 피플펀드 김대윤 대표의 CEO 특강 내용이 실렸습니다.
<[매경 CEO 특강] 김대윤 피플펀드 대표 / 한양대서 강연> 기사에서 김 대표는 “금융에서도 디지털 전환이 매우 빠르게 일어날 것”이라며 금융권 취업을 고민하는 학생들에게 “혁신을 표방하는 새로운 업권에서 다양한 경험을 하는 게 좋다”고 조언했습니다.
기사의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취준생, 디지털전환 급한 금융권 노려라”
김대윤 피플펀드 대표는 최근 한양대에서 열린 ‘매경 CEO 특강’에서 디지털 전환이 코앞으로 다가왔다고 강조했다. 그는 “카카오뱅크가 금융지주들 시가총액을 넘어섰는데, 금융사들이 카카오뱅크를 따라잡아야 한다고 생각하면 산업이 바뀔 것”이라고 내다봤다. 앞으로는 디지털 혁신에 재빠르게 대응하는 기업만 살아남을 것이라는 의미다.
김 대표는 “취업준비생으로선 핀테크는 물론 기존 금융권에서도 변화를 만들 수 있는 곳은 어디든 도전할 만하다”고 말했다. 특히 김 대표가 생각하는 디지털의 핵심은 ‘데이터’다. 그는 “과거 산업혁명 동력이 석유였다면, 이제는 그 역할을 데이터가 한다”고 말했다.
“인생의 3분의 2를 만족하며 일할 수 있는 직업을 고민해야“
김 대표는 실패가 뜻깊은 자산이 된 경험도 들려줬다. 피플펀드가 국내 최초로 도입했던 ‘은행 통합형 P2P 모델’이 대표적인 예다. 이 모델을 도입하는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금융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해 보수적인 태도를 취하는 금융당국을 서비스 개발 이후에도 약 8개월간 설득해야 했다. 설득 끝에 모델을 운용했지만 온라인 투자 연계 금융업법으로 결국 서비스를 종료해야 했다.
김 대표는 “혁신과 규제 사이에 조화가 이뤄지면서 안전한 산업의 균형이 만들어진다”며 “금융당국과 조율하는 과정이 쉽지 않았지만, 선례가 없는 길이었던 만큼 회사 역량을 키울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세상에 중요한 변화를 가져오는 일을 하고 있다는 뿌듯함이 피플펀드를 운영하는 동력”이라고 강조했다.
보다 자세한 기사 내용을 보고 싶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