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여러 업계에서 개발자 영입에 온 힘을 쏟는다고 합니다. IT 기술이 주목받으면서 실력 있는 개발자의 존재가 그 자체로 기업의 경쟁력이 되고 있기 때문인데요. 대기업들도 큰 보상을 약속하며 앞다투어 인재 채용에 나섰습니다.

그런데 다른 한편에서는 화려한 경력의 개발자들이 유망 스타트업으로 향한다는 이야기도 들려옵니다. 이들은 왜 대기업을 마다하고 스타트업을 선택하는 걸까요?

여기 피플펀드를 첫 번째 직장으로 선택한 주니어 개발자가 있습니다. 카이스트 석사 과정을 마친 후 핀테크 스타트업에서 커리어 성장을 꿈꾸는 사람, 피플펀드의 iOS App을 책임지는 개발자, 지환님을 만났습니다. 

개발자 김지환
– 한양대학교 컴퓨터공학 학사
– 카이스트 전산학부 석사
– 데이팅 앱 ‘오늘하루’ 개발
– 블록체인 커뮤니티 앱 ‘코박’ 개발
Q. 안녕하세요! 간단한 자기소개 부탁드려요.

저는 피플펀드 App UX 그룹에서 앱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법(온투법) 출범 준비를 돕고 있어요. 자금세탁방지법을 서비스에 적용하기 위한 시스템 개발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신분증 진위확인, 본인 계좌 확인, 자금출처 확인 등을 위한 세부 작업을 맡았어요. 법적 이슈를 프로그램으로 구현하는 문제라 조심스럽지만 새로운 경험이기도 해서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Q. 첫 번째 직장으로 스타트업을 선택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무엇보다 개발자로서 성장할 수 있는 곳에 가고 싶었습니다. 스타트업은 저의 성과를 스스로 확인할 수 있고, 또 인정받을 수 있는 곳이라고 생각했어요. 상대적으로 의사결정 과정이 복잡하지 않고 도전할 자유가 더 열려 있을 거라고 기대했고요. 피플펀드는 이런 기대를 충족해주는 곳이었어요.

Q. 스타트업으로 오시면서 안정성에 대한 고민은 없었나요?

저는 스타트업이 불안정하다고 생각하지 않아요. 제게 안정성은 정년이나 임금보다는 ‘성장 가능성’에 가까운 개념이에요. 개발자라서 특히 더 그런 것 같기도 한데요. 안정성은 ‘얼마나 잘, 얼마나 오래 일할 수 있느냐’잖아요? 개발자로 오래, 잘 일하기 위해선 어떤 개발 환경에서든 빠르게 적응하는 능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려면 다양한 도전의 경험이 필요하고요.

그래서 저는 스타트업이 오히려 장기적인 안정성을 얻기에 더 좋다고 생각해요. 빠르게 움직이는 조직이다 보니 기술 트렌드를 바로바로 실무에 적용해볼 기회가 많으니까요. 특히 피플펀드에선 프로젝트 단위로 일이 진행되는 데다 신생 업권이기도 해서 새로운 시도를 많이 해볼 수 있어요.

Q. 어느덧 입사한 지 1년이 지났어요. 가장 기억에 남는 일은 무엇인가요?

iOS 앱을 런칭한 거요! 제가 입사했을 당시 피플펀드 앱은 안드로이드용만 있었어요. 아이폰을 이용하는 많은 고객이 어쩔 수 없이 불편하게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었던 거죠. 앱이 없으면 사소하게는 푸시 알림도 못 받잖아요.

입사하자마자 혼자 iOS 앱을 만들었어요. 출시를 앞두곤 동료들 앞에서 시연도 했는데, 조금 쑥스럽긴 해도 큰 보람을 느꼈어요. 앱스토어 리뷰도 자주 확인했던 기억이 나네요. (웃음)

Q. 지환님이 1년간 지켜본 피플펀드는 어떤 회사인가요?

“이겨내는 조직”

피플펀드는 ‘이겨내는 조직’이에요. 빠르게 성장하는 스타트업이다보니 내외부적인 변화를 겪을 때가 많은데, 그럴 때 일시적으로 어수선해지더라도 차근차근 잘 정리해 나가는 모습을 지켜봤어요.

피플펀드만의 문화도 점점 더 견고해지고 있어요. 조직 전체가 구성원들이 소속감과 유대감을 느낄 수 있도록 노력한 덕인 것 같습니다. 사실 회사 사람들과 용건 없이 가벼운 대화를 나눌 기회가 잘 없잖아요. 접점이 없는 분과는 서로 얼굴을 모르는 경우도 많고요.

피플펀드에서는 동료와 함께 일하고 있음을 실감할 수 있어요. 같은 팀에서 같은 업무를 하지 않아도요. 학교 동아리처럼 서로 사적으로 친하다는 의미가 아니에요. 소속감을 공유하면서 새로운 인연이 될 수 있는 게 좋은 거죠.

예를 들면 슬랙(사내 메신저)에는 ‘원더피플(#wonderpeople)’이라는 채널이 있는데요. 서로에 대한 칭찬과 감사를 나누는 단체 대화방이에요. 그 방엔 점심 식사 후 커피를 사줘서 고맙다는 사소한 메시지부터, 동료에게 진심어린 응원을 보내는 훈훈한 메시지까지 다양한 감사의 말이 올라와요. 여행 사진 콘테스트 같은 깜짝 이벤트도 열리고요. 저는 괜히 쑥스러운 마음에 눈으로 보기만 하지만 항상 즐겁게 보고 있습니다.(웃음) 사내 중고 장터도 있고, 코로나19 때문에 잠시 멈췄지만 여러 소모임도 있어요. 저는 농구팀에 소속돼 있어요.

(왼쪽) 원더피플로 전하는 동료를 향한 믿음과 감사<
(오른쪽) 재택 중에도 함께 즐거운 피플러들! 깜짝 방구석 여행사진전
Q. 1년간 체감한 변화도 있나요?

피플펀드가 조금씩 조금씩 계획했던 방향대로 나아가고 있다는 게 느껴져요. 특히 팀에 유능한 개발자가 계속 합류하는 점, 연구 조직인 AI Lab을 설립한 점에서요.

AI Lab은 ‘핀테크에서 그동안 아무도 시도하지 않았던, 하지만 꼭 필요한 혁신을 일으키겠다는 목표로 탄생했는데요. 다소 거창하게 들릴 수도 있지만 저는 그런 목표를 설정하고 실제로 시도하는 것 자체가 큰 발자국을 남긴 거라고 생각합니다.

연구와 개발 양쪽 모두에 흥미가 있는 개발자에게 피플펀드는 좋은 선택지일 것 같아요. 둘 다 가능한 조직이 현실적으로 많지 않거든요. 연구에는 충분한 양과 질의 데이터, 인력, 회사 차원의 지원이 모두 필요해요. 아직은 적지만 피플펀드엔 이 세 가지가 모두 있어요. 점점 더 많아지고 있고요.

Q. 최근 가장 관심을 둔 일, 기대되는 일은 무엇인가요?

앞서 말씀드렸던 AI Lab에 합류한 거요. 저도 석사 연구를 했던 경험이 있어서 제안받았는데요. 회사가 보유한 신용정보데이터를 이용해 다양한 시도를 해볼 수 있을 것 같아 기쁜 마음으로 합류했습니다.

저는 신용평가시스템 고도화 연구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신용평가시스템은 아직 누구도 완벽하게 구현해내지 못한 분야예요. 고객 정보의 선별 능력을 높여서 더 많은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니 회사의 수익과도 직결되는 문제예요. 그만큼 중요한 프로젝트예요.

Q. 앞으로 피플펀드에서 이루고 싶은 목표가 있다면요?

우선은 서비스 이용자가 많아졌으면 좋겠어요. 저를 비롯한 팀원 모두가 최선을 다해 지속해서 서비스를 개선해 나가고 있거든요. 더 많은 관심을 받았으면 하는 개인적인 소망이 있습니다.

AI Lab에서도 성과를 내고 싶어요. 자신 있다기보다는 개발자로서 제겐 엄청난 기회라 욕심이 생기는 것 같아요. 방대한 데이터를 갖고 AI 연구를 해보고 싶다는 갈증이 언제나 있었거든요. 이번 기회에 잘 해보고 싶어요.

온투업이 등장하면 이 시장도 피플펀드도 많이 달라질 거예요. 새 금융업이 등장하는 역사에 함께할 수 있어서 영광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과정에서 저도 많이 성장했으면 좋겠습니다.

edited by Soohyun
photographed by Gihwan


능력 있는 동료와 함께 일할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