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보올림피아드(KOI) 금상 수상, 국제 정보올림피아드(IOI) 국가대표 상비군, 대학생 창업가, 카이스트 NLP 석사, 하이퍼커넥트 신사업개발 PM까지 전천후 Full stack 개발자가 피플펀드에 있다?!!
피플펀드 App 서비스를 보다 심리스(seamless)하게 구현하고 있는 App UX 팀의 수장, 안병규님을 만났습니다. (2022년 8월 기준, Client그룹 그룹장 / ML팀 Team Leader)
AppUX팀 Team Leader 안병규 – 한양대학교 소프트웨어 학사 – 카이스트 전산학 석사 – 하이퍼커넥트, 집꾸미기, 코박 등의 스타트업에서 풀스택 개발 담당 – 오늘하루에서 CTO 역임 |

Q. 피플펀드에 합류하기 전엔 어떤 일을 하셨나요?
학부 때부터 스타트업에서 개발 일을 했고, 직접 창업도 했었어요. 연구에도 관심이 있어서 일을 하면서 NLP(자연어처리) 석사 과정을 이수하기도 했습니다. 이후 영상 기술 기업인 하이퍼커넥트에서 신사업개발을 담당했고, 피플펀드에는 전문연구요원으로 합류했어요. 지금 피플펀드에서는 NLP를 활용한 프로젝트를 준비 중입니다.
Q. 직전 회사는 많은 개발자가 꿈꾸는 유니콘 기업이었잖아요. 왜 피플펀드를 선택했나요?
피플펀드에 같이 일하고 싶은 개발자들이 많았어요. 이전에 합을 맞췄던 좋은 개발자들이 먼저 와있었거든요. 제 뒤를 맡길 수 있는 사람들이 있다는 생각에 든든했죠.
스타트업은 턴오버가 높은 편인데 피플펀드에는 오래 근속한 개발자들이 여럿 계시고, 회사가 이분들을 존중하고 있다는 게 느껴졌어요. 이런 점에서도 좋은 인상을 받았던 것 같습니다.
Q. 실제로 피플펀드에 조인해보니 어떤가요?
내 판단을 존중하는 회사
우선 피플펀드는 개발자의 판단을 존중해줘요. 일반적으로 금융 쪽은 개발자가 관여할 수 있는 부분이 상당히 제한적인데도요. 보통 거대한 시스템이 잘 돌아갈 수 있도록 유지하는 관리자 역할에 그치거든요.
그런데 피플펀드에서는 개발자의 자유도가 높아요. 예를 들면, 저희 팀에서 서비스 고도화를 위해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길 원했던 적이 있었어요. 다만 그렇게 하면 일시적으로 고객의 불편을 초래할 수 있어 고민되는 상황이었죠. 하지만 저희는 기술 도입이 장기적으로 고객의 효용을 높일 수 있다고 판단했고, 피플펀드는 개발진이 원하는 대로 기술 스택을 지원했어요. 사실 회사 입장에서는 쉽지 않은 결정인데 개발자의 판단을 믿어준 거죠. 그럴 때 동기부여가 돼요.

친절하고 적극적인 사람들
또, 사람들이 질문하는 걸 어려워하지 않아요. 보통 개발자들은 질문에 상세하게 답해주지 않는 편이거든요. 딱 집중해서 일하고 있는데 중간에 누군가 말을 걸면 흐름이 깨질 수 있잖아요.
그런데 피플펀드에서는 누구나 자유롭게 물어보고, 모두가 친절하게 대답해 주시더라고요. 타 부서에 질문하는 것도 어렵지 않고 오히려 당연한 분위기예요. 개발자에겐 당연한 지식이라도 비개발자에겐 생소할 수 있잖아요. 반대도 마찬가지고요.
금융이라는 게 워낙 복잡하다 보니 모두들 산업에 대한 이해를 넓히기 위해 꾸준히 노력하고 있어요. 그래서 더 서로의 질문에 열려 있는 게 아닐까 싶어요.
Q. 일하는 스타일이 궁금해요. 개발할 때 염두에 두는 원칙이 있나요?
저는 팀워크를 최우선으로 생각합니다. 그래서 시간 내에 목표 스펙에 맞는 결과물을 내는 걸 중요하게 생각해요. 개발적인 완벽함을 추구하는 것보다 더요.
물론 개발적으로 완벽하면 좋죠. 하지만 ‘얼마나 완벽해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고민해봐야 해요. 한 번 사용된 코드가 다시 쓰일 가능성은 아주 낮은데, 모든 부분 부분마다 완벽함과 새로움을 추구하면서 서비스를 만들 수는 없어요.
개발은 팀플레이예요. ‘더 완벽한 코드를 만들고 싶다’는 개인적인 욕심에 팀원들과 협의한 기간을 넘겨버리면 전체적인 비효율이 생겨요. 결과물의 스펙과 일정에 대한 준수는 효율적인 팀플레이를 위해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Q. 그렇다면 App UX팀의 팀플레이 스타일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말씀해주세요.
일에 대한 예측력
‘팀플레이’를 잘하려면 스스로 일의 속도를 예측할 수 있어야 해요.
저희는 하루 작업 시간인 8시간을 기준으로 태스크를 관리하고, 지라Jira 카드에 기록하고 있어요. 범위가 넓은 개발 태스크는 잘게 쪼개서 작업하고요. 또 주기적으로 함께 회고하는 게 중요해요. 예를 들어 예상보다 작업 시간이 길었다면 ‘왜 예측과 달라졌을까?’ ‘어느 부분에서 비효율이 발생했을까?’ 같은 질문을 던져보고, 팀원들과 의견을 나누는 거죠. 예상보다 빨랐다면 그것도 예측 실패니까 돌아봐야겠죠.
사실 일이 밀리는 시작점은 사소해요. 어느 날 고작 몇 시간 늦어진 것 때문에 나중에는 한 달씩 밀려서 시간에 쫓기게 돼요. 그렇게 되면 일정도 일정이지만, 팀의 사기도 떨어져요. 처음부터 밀리지 않아야 하고, 그러려면 나부터 맡은 일을 제때 마쳐야 해요. 한 사람 한 사람이 각자의 플래닝을 잘하면 그게 모여서 팀 전체의 효율이 높아지는 거예요.

서로에 대한 믿음
저희는 ‘믿고 맡긴다’는 생각으로 업무를 배분하고, 일에 대한 권한을 전적으로 위임해요. 예를 들면, 완성된 코드를 메인 저장소에 올리기 전에 검토하는 과정이 있는데, 이걸 최대한 간결하게 합니다. 담당 개발자가 잘 해왔을 거라고 믿는 거예요. 물론 문제가 발생하면 책임은 다 같이 지고요.
코드 리뷰는 중요해요. 하지만 그 과정이 길면 느슨해질 수도 있다고 생각해요. ‘실수가 있어도 발견되겠지’, ‘누군가 고치겠지’하고 안심하게 되니까요. 대신 저희는 처음부터 최대한 완성도 높은 코드를 짜고, 서로의 결과물을 믿기로 했어요. 그만큼 한 명 한 명의 책임감이 강하겠죠. 사실 무엇보다도 팀원들이 믿을 만한 사람들이에요. 능력 있는 개발자들이거든요.
Q. 팀을 이끄는 병규님만의 철학이 있는 것 같아요.
철학이라고 하기엔 민망하고요(웃음) 경험과 고민을 거듭하면서 자연스럽게 저만의 답을 찾은 것 같아요. 예전 회사에서 제가 신사업개발팀의 PM 역할을 맡은 적이 있어요. 그때 ‘서비스를 어떻게 성공시킬까’, ‘팀을 어떻게 이끌고 갈까’하는 고민을 많이 했어요. 그러면서 제가 찾은 답은, 뭐든 팀에 맞으면 그게 정답이라는 거예요.
어떤 방식이 팀에 맞을지는 시도해보기 전에는 모르잖아요. 그래서 빠르게 도입해보고 회고하면서 우리만의 정답을 찾아가려고 해요. 저는 이걸 ‘시범 운용’이라고 불러요. 지금도 시행착오를 거치며 함께 답을 찾아가고 있어요.

Q. 피플펀드에서 이루고자 하는 목표가 있다면?
좋은 App을 만드는 게 목표예요. 당연한 것 같아도 쉬운 일은 아니에요. 저는 이 ‘기본’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1%의 UX
저는 메인 로직에 포함되지 않은, 고객의 예외적인 상황까지도 모두 커버하는 App을 만들고 싶어요. 예를 들어 송금을 하던 중에 서울 전체가 정전된다고 해봐요. 그래서 금융 회사 시스템에도 영향이 간다면 사용 중이던 App이 뚝 꺼져버릴 수도 있겠죠. 하지만 저는 그런 돌발상황에서도 App이 구동될 수 있도록 하고 싶어요. 99%의 이용자가 문제없이 넘어가더라도 여전히 생길 수 있는 1%의 오류까지 방어하는 거죠.
특히 금융App은 방어적 코드에 공을 많이 들이는데, 사실 그러면 App의 속도가 느려질 수밖에 없거든요. 그러니까 안정적이면서도 느리지 않은 App, 이 기본이 정말 어렵죠. 그래서 그게 목표예요.
edited by Suhyun
photographed by Gihwan
이렇게 멋진 개발자와 함께 일할 기회!